블로그 이미지
MENU
Date : 2014. 11. 17. 09:37 Category : 서평과 리뷰 Writer : 알 수 없는 사용자

경남민언련 간사인 송보현 님이 본인 블로그에 <사람 사는 대안마을> 서평을 올려주셨습니다. 허락을 얻어 서평 소개합니다. 송보현 님, 고맙습니다.


스스로 일주일에 몇 권 정도는 읽자고 약속했다. 비교적 잘 지켜왔는데 한달전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다. 책을 손에 계속 쥐곤 있었지만 마지막 장을 넘기는 데는 한참이 걸렸다. 결코 내용이 어렵거나 이해가 안 가서가 아니다. 솔직히 고백하면 내가 더 부지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제법 묵혀두었다가 비로서 완독을 할 수 있었던 책 하나를 소개한다. 이름은 <사람 사는 대안마을 / 정기석 지음>이다.


책을 쓴 저자는 '마을'을 좋아해서 '마을'을 연구하는 정기석 '마을연구소' 소장이다. 이 책에서는 유행처럼 생겨난 수많은 마을 중에 고난을 극복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스무 곳의 마을을 소개한다. 구분은 4가지 주제로 '농사로 일구는 경제마을', '사람을 배우는 교육마을', '놀이로 일하는 문화마을', '자연과 사귀는 생태마을'이 그것이다. 초반 머릿말부터 필자 자신이 생각하는 '사람 사는 대안마을'의 견해를 언급했다.

/송보현



"본디 마을은 관광지나 공원이 될 수 없다. 마을 주민들이 대대로 생활하고 생존해 온 박물관 같은 생활공간이다. 후손을 위해 순정한 삶의 터전으로 보전해야 하는 미래의 땅이다.

그래서 법이나 제도보다 '마을 만들기'의 개념과 방법론부터 먼저 수정하는 게 순서다. 기왕의 '토건적 마을 만들기'는 '사회생태적 마을 살리기'로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 원주민, 귀농인, 출향인 등의 인간다운 생활과 생존을 보존하는 삶의 질 높이기를 지상과제로 삼아야 한다. 그렇게 '만드는 마을'에서 '사람 사는 대안마을'로 사회적으로,인문적으로, 문화적으로 진화해야 한다."


각 마을의 역사와 그 곳에서 치열하고 때로는 고된 삶을 살아가는 마을시민의 삶을 전한다(필자는 마을시민을 '농사짓지 않는 귀농인'으로 말한다. 정확하게는 농사를 짓고 싶어하지 않는 게 아니라, 농부로 살고 싶지만 농사만 지어서는 도저히 농촌에서 먹고살 만한 재주나 능력이 안 되눈 사많은 귀농인을 일컫는다). 읽으면서 고개를 몇 번 끄덕거렸다. 특히 장수 호덕리 하늘소마을의 박진희 씨의 값진 교훈이 와닿았다. "귀농 생활을 꿈꾸는 이들에게 초기의 적응기는 낭만과 여유보다는 삶의 치열한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부터 가져야 한다."


그 외에도 일하는 즐거움과 일꾼으로서의 주인 의식을 가지게 된 금원산 부각마을 아낙네 이야기, 22년 만에 태어난 아이, 마을에서 영화를 찍으면서 영화같이 멋진 마을을 만들어 영화같이 살고 싶은 꿈을 꾸는 양평 연수리 영화 감독, '나누고 비우자'는 경제철학으로 함께 도우며 살아가는 보은 기대리 선애빌. 책을 읽는 내내 단순하게 머릿 속으로만 귀농을 꿈꾸는 여러 이들에게 '쉽지 않지만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우리 마을을 보라!'라는 느낌이었다.


책장을 덮고 생각에 잠긴다. 나는 어떤 마을에서 살 수 있을까? 어떤 곳에서 내 능력을 발휘해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 쉽게 답변하긴 어렵지만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이런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것 같다. 

,